자기감시성향(Self-monitoring)
자기감시성향은 외부 상황요인에 따라서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 능력이 높은 사람들은 상황적인 외부요인에 맞춰서 스스로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상당한 적응력을 보이며 공공장소에서 모습과 개인적인 모습사이에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자기감시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숨기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서 그들의 행동과 본성 사이에는 일관성이 있다. 자기감시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남들의 행동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이며,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남들을 더 잘 따른다. 더 좋은 실적평가를 받고 리더가 될 확률은 높으나, 조직에 대한 충성은 더 낮다.
위험선호경향
위험감수성향은 경영자들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어느 정도의 시간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위험선호경향이 높은 경영자들은 더 빠른 결정을 내렸고,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더 적은 정보를 활용해서 결정을 내렸다. 그럼에도 채용 결과의 정확성은 두 그룹이 차이가 없었던 것이 흥미로운 점이다. 또한 그동안은 큰 조직의 경영자들이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작은 기업을 경영하는 사업가들보다 위험선호경향이 낮은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의 연구결과를 통해 큰 기업의 경영자들이 오히려 더 높은 위험선호경향을 지니고 있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특정한 직종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위험선호성향을 이용하는 것은 타당해보인다.
A형 성격
과도하게 경쟁적이며 항상 시간에 쫒기는 듯 보이는 사람은 아마도 A형 성격을 가진 사람일 것이다. "더 적은 시간에 더 많은 것들을 이루어 내기 위해 만성적이고 끊임없는 공격적인 투쟁에 빠져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것들이나 다른 사람들의 반대되는 노력에 대해서도 그러한 행동을 보인다."
A형 성격의 특징
- 항상 움직이고 빨리 먹는다
-대부분의 일들이 일어나는 속도에 대해 답답함을 느낀다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일들을 하려고 노력한다.
-휴식시간을 견디지 못한다.
-숫자에 집착하며, 그들이 얼마나 취득하는지를 기준으로 스스로의 성공을 측정한다.
-보통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느끼면서 작업한다.
-스스로를 계속적인 시간적 압박에 놓으며, 자신의 삶을 마감시한으로 둘러싼다.
-질보다 양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일을 빨리한다.
-특정한 상황에서 반응이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예측하기 쉽다.
B형 성격은 이와 반대로 "점점 줄어드는 시간에 더 많은 일들을 이루고 싶은 욕망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B형 성격의 특징
-시간의 촉박함이나 그에 따르는 조급함을 느끼지 않는다.
-죄책감 없이 휴식을 취한다.
-A형 성격에 비해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적극적 성격(proactive personality)
능동적으로 나서서 현재의 상황을 더 낫게 바꾸고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나가는 성격이 적극적 성격이다. 상황에 대해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사람들과 달리 적극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진취적이며, 기회를 잡아내고, 행동을 취하고,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날 때까지 그대로 밀어붙인다. 직무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들은 조직들이 탐내는 여러 가지 여러가지 긍정적인 행동들을 보인다. 그로인해 남들보다 리더로 인식될 확률이 더 높고, 조직 내 변화를 가져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적극적인 이들의 행동들은 상황과 조직에 따라서 부정적인 수도 긍정적일 수도 있지만, 조직에 사업적으로 진취적인 사람들이 필요하다면 이들은 아주 좋은 후보들이 되며, 이들은 조직을 떠나서 개개인으로서도 남들보다 직업세계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
지금까지가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는 성격의 요소이며, 그 다음은 가치이다. 가치는 아주 구체적이고 행동경향보다는 믿음을 더 자주 반영한다.
가치관
가치관은 '어떠한 행동방식이나 결과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보았을 때, 반대되는 행동방식이나 결과보다 더 낫다'는 믿음을 말한다. 판단이라는 요소가 들어있는데 이는 무엇이 옳고, 좋으며, 바랄만 한지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가치관에는 내용과 강도라는 두 가지의 특성이 모두 들어있는데, 내용은 행동방식이나 결과가 중요하는 사실을 말하며, 강도는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말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구조를 이루는 가치들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쾌락, 정직, 복종, 자유, 자기존중, 평등과 같은 가치들에 부여하는 상대적인 가치들에서 그 사람의 가치구조를 알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치관은 유동적이고 유연하지 않지 때문에 안정적이며 오래간다. 사람들이 스스로의 가치에 의문을 던지면 가치관이 변화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가치들을 어린시절을 통해 부모, 교사, 친구등에 의해서 세워지며 절대적인 흑백논리로 가치를 배웠기 때문에 가치관은 안정성과 지속성을 유지하며, 더 자주 일어나는 일은 가치들이 도리어 강화된다.
가치관의 중요성
가치관은 사람들의 태도와 동기들을 이해하고 우리의 인식을 바꾸는 일의 기초가 되고, 우리가 특정한 행동이나 결과를 다른 것들보다 더 선호함을 암시하며, 객관성과 논리성을 흐리게 하여 태도와 행동에까지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당신의 가치관과 조직의 정책이 다르다면, 이는 직무 불만족으로 이어지며 많은 노력을 쏜지 않는 행동을 하게 될 것이다. 가치관과 조직의 정책이 같았다면, 행동도 다르지 않았을까. 그랬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