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your Wonderland?

내 꿈에 대한 관심은 단 한 사람이면 충분합니다.

오늘의 기록

성격과 가치관

yeonydaoom 2022. 4. 2. 03:19
반응형

성격이란 무엇인가

-성격의 정의 : 가장 자주 쓰이는 정의는 약 70년 전에 Gordon Allport에 의해 만들어진 정의다. 성격이란 ' 개인의 정신물리학적인 시스템 안에서 외부환경에 대한 개인의 적응을 결정하는 다이내믹한 구조' 라고 정의하였으며, 성격을 개인이 남들에게 반응하고 상호작용하는 모든 방식들의 합이라고 인지하면 된다. 

 

성격의 측정

고용 결정과 어떤 사람이 특정 직업에 가장 적절한지 판단하는 데 유용하다고 밝혀졌기 때문에, 경영자들이 성격을 측정하는 방법을 하는 이유이다. 성격검사 결과를 활용하면 조직구성원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 자기보고 형식으로 스스로에 대해 평가하는 설문조사가 성격을 측정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응답자가 거짓으로 응답을 하거나, 그날의 기분에 따라가 결과가 달라지는 등 정확성에는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약점이 있다.

 

성격의 결정 요인

초기의 성격에 대한 요인에는 유전의 결과와 환경의 결과 중 둘 다의 결과인 것으로 보았지만, 연구결과들은 대체로 환경이 아닌 유전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수정과 동시에 결정되는 요인들은 유전이라 하는데, 외모, 성, 기질, 바이오리듬, 근육의 구조와 반사작용 등 대부분은 부모의 생물학적, 정신적, 생리학적 구성에 따라 결정되는 요소들이라고 말한다. 개인의 성격에 대한 궁극적인 설명은 염색체에 들어있는 유전자의 분자구조라는 것이 유전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다. 

부모가 자녀의 성격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쌍둥이에 대한 연구에서 드러났다. 쌍둥이 간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성격 특성의 50% 가량이 유전에 의한 것이며, 직업이나 취미와 관련된 특성의 30% 이상이 유전에 의한 것이라는 보여주는 것이 쌍둥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사실이 성격이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건 아니다. 성장에 따라서 의존가능성(dependability)은 청년들이 가정을 꾸리고 책임감이 필요한 일을 하는 것처럼 대체로 증가한다. 십대의 시기는 탐구와 변화의 시기로, 사람의 성격은 청소년기에 더 잘 변하고 성인이 된 이후에는 잘 변하지 않는다.

여러 상황에서 어떤 개인이 일관성 있는 특징을 보이는 것을 성격 특성(personality traits)라고 하는데, 이러한 특성이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다양한 상황에서 자주 나타날수록 그 특성은 그 사람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마이어-브릭스 성격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MBTI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성격층적 도구로써, 100가지 질문으로 이루어진 성격테스트를 통해 사람들의 성향을 분류한다.

 

-외향/내향(E/I) : 외향적인 사람들은 활발하고 사교적이며 적극적인 반면에 내향적인 사람들은 조용하고 소극적이다. 

-감각/직관(S/N) : 감각적인 사람들은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것과 질서를 선호하고 세부 사항에 집중하는 반면에 직관적인 사람들은 무의식적인 영감에 의존하며 나무보다는 숲을 보는 사람들이다. 

-사고/감정(T/F) : 사고형의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논리와 분석을 사용하면 반면 감정형인 사람들은 개인적인 가치가 감정에 의존한다. 

-판단/포옹(J/P) : 판단형의 사람들은 통제를 좋아하고 세상이 질서정연하고 구조적이기를 바라는 반면에 포용형의 사람들은 유연하고 즉흥적인걸 선호한다.

 

MBTI가 좋은 성격 측정방법이 아니라는 가장 큰 문제는 성격을 측정할 때 이분법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외향성과 내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이 없다. MBTI의 가장 긍정정인 측면은 스스로에 대해 더 자각하고 직업생활의 가이드가 되어줄 수 있다는 점 정도이다. 

 

BIG5 성격모델

-외향성(extroversion) : 외향성은 인관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를 말하는데, 대체로 사교적이고 적극적이며 붙임성이 좋다. 내향성(introversion)을 가진 내향적인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수줍어하며 조용하다.

-친화성(agreeableness) :친화성은 다른 사람을 따르는 경향을 나타내며 친화력이 높은 사람들은 협동적이고 따뜻하며 신뢰가 간다. 

-성실성(conscientiousness) : 성실성은 신뢰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성실성이 높은 사람은 책임감이 있고 정리된 생활을 하며 의지할 수 있고 꾸준하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주의가 산만하고 정리되지 않은 생활을 하며 신뢰하기 어렵다. 

-정서적 안정성(emotional stability) : 정서적 안정성은  이와 반대인 신경질성(neuroticism)이라는 이름을 달기도 하며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말한다. 정서적인 안정도가 높은 사람은 차분하고 자신감이 있으며 안정적인 반면에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불안하고 걱정을 많이 하며 우울하고 자신이 없다. 쉽게 화를 내지 않고 감정을 절제할 수 있는 것이 정서적 안정인 것이다.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 개방성은 새로운 것에 호기심을 갖고 매료되는 정도를 말하며 개방적인 사람들은 호기심이 많고, 창의적이며, 예술적인 감수성이 풍부한 반면에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관습적이고 일상적인 것에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반응형

'오늘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요소들과 가치관  (0) 2022.04.03
조직행동론과 성격  (0) 2022.04.02
감정노동과 감성지능  (0) 2022.03.30
기분, 감정과 조직행동  (0) 2022.03.29
직무관련태도 - 직무만족  (0) 2022.03.28